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농신보기금의 비용-농신보 보증료 계산해보기.

 

농신보기금의 보증서발급을 받기위해서는,우선 발급보증료가 발생합니다.

 

농신보 보증서를 담보로 원하는 사업자금을 받을 수 있기때문에,보증에 대한 최소한의 수수료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보증료로 여신에 대한 보수,위험부담료,사후처리수수료등으로 활용하게 됩니다.

 

 

사실 지원받는 자금의 규모에 비해서,보증료는 미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증료외에 계약미이행에 따른 과태료,위약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보증료의 규모는, 어떠한 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 

 보증금액

농림어업(1차산업) 

비농림어업(2차산업) 

 자연인 및 비법인단체

 1억원이하

 연율 0.3%

 연율 0.4%

 1억원초과

 연율 0.4%

 연율 0.6%

 5억원초과

 연율 0.6%

 연율 0.9%

 법인

 1억원이하

 연율 0.5%

 연율 0.8%

 1억원초과

 연율 0.7%

 연율 1%

 5억원초과

 연율 1%

 연율 1.2%

 특별재난지역

농어업재해대책자금

 연율 0.1%

 

 

 

위와같이 보증료를 구분할 수 있으며,보증금액이 1억원을 넘을 경우에는 신용도에 따라서 0.2%가감

 

될 수 있습니다.

 

보증료는 선납이 우선이고,보증기간이 1년을 넘어가는 경우에는 분납할 수 있습니다.

 

 

 

 

 

  

 

 

농신보기금의 경우,관련업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필요금액의 85%선까지 보증서발급이 되므로 개발자금,

 

생산자금,유통자금,수출자금등 다양한 사업목적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농신보기금의 목적에 맞는 자금사용으로,기업발전과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므로 정부와 관계금융기관의

 

협조를 얻기에도 원활한 편입니다.

 

 

 

 

 

 

 

위와같은 농신보기금외에도 기업경영에 필요한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단기간,급하게 사용하기위한 자금등 다양한 목적에 맞는 자금조달을 해야합니다.

 

기업을 운영하면서 필요한 운영자금,시설자금등에 대해서 많은 관심이 필요하겠습니다.

 

 

 

 

 

 

댓글